2025년 고용노동부 달라지는 제도 Ⅰ '임신·출산·육아' 알아보기
2025년부터 달라지는 고용노동부 제도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.
첫 시간으로 임신·출산·육아 관련 정책 변화에 대해 알아보자!
육아휴직 급여 인상, 기간 연장
- 육아휴직 급여가 월 최대 250만 원으로 인상된다.
- 혼자 육아휴직 하면 연 최대 2,310만 원
- 부부가 같이 육아휴직 하면 연 최대 5,920만 원(부부 합산)
- 기간이 연장됩니다
- 부모가 각각 3개월 이상 사용
- 한 부모, 중증 장애 아동 부모 → 1년 6개월
육아휴직 급여 인상과 사후 지급 방식 폐지 및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급여 계산 시 적용되는 기준금액 상한액 인상이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며, 이로써 현행 전과 개편 이후의 차이는 아래와 같다.
* 현행: 육아휴직 기간 통상임금 80%(월 상한 150만원)
개편: 첫 3개월 통상임금 100%(월 상한 250만원), 4∼6개월 통상임금 100%(월 상한 200만원), 7개월 이후 통상임금 80%(월 상한 160만원)
** 현행: 육아휴직 중 75% 지급, 25%는 복직 후 6개월 이상 계속 근무 시 사후 지급
개편: 육아휴직 중 100% 전액 지급 - 육아휴직급여 인상에 따라 자녀 생후 18개월 내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 시 첫 6개월 동안 육아 휴직급여를 상향 지원하는 특례 제도도 첫 달 상한액이 현재 20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인상된다.
* 1개월 상한액은 200 → 250만원으로 인상, 2~6개월은 현행과 동일(250, 300, 350, 400, 450만원)
한 부모 근로자에 대해서는 첫 3개월 육아휴직급여를 현재 250만원에서 월 300만원으로 상향합니다.
* 현행: 1~3개월 상한액 250만원, 이후 150만원
개편: 1~3개월 300만원, 4~6개월 200만원, 7개월 이후 160만원
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확대,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급여 기준금액 상한액 상향
* 2025년 1월 1일부터는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급여액 중 매주 최초 10시간 단축분 급여 계산 시 적용되는 기준금액인 월 통상임금 100%의 상한액을 200만원에서 220만원으로 상향하여 지원한다.
* 나머지 근로 시간 단축분 급여 계산 시 적용되는 기준금액인 월 통상임금 80%의 상한액은 150만원으로 변경 없다.
오늘은 2025년도 달라지는 임신·출산·육아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.
함께 읽으면 도움이 될 만한 글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.
2024.08.30 - [경제 & 성공 마인드] - 2025년 출산, 육아휴직 예산안 한눈에 보기!!
2025년 출산, 육아휴직 예산안 한눈에 보기!!
8월 27일 국무회의에서 2025년도 고용노동부 예산안이 의결되었다.오늘은 그 중 출산과 육아휴직에 관한 예산을 알아보겠다.고용노동부는 건전재정 기조에 맞춰 재정을 효과적으로 편성·지출하
blog.priminglife.com
2024.08.28 - [경제 & 성공 마인드] - 2025년 예산안 핵심 내용 정리!
2025년 예산안 핵심 내용 정리!
27일 정부는 '2025년 예산안 및 2024~2028년 국가재정운용계획'을 발표했다. 2025년 정부예산은 총 677조원 규모로 편성되었다. 올해 본예산보다 3.2% 증가한 규모지만, 정부가 예상하는 내년도 경상성
blog.priminglife.com
2024.07.04 - [경제 & 성공 마인드] - 2025년 신생아 특례 대출 총 정리
2025년 신생아 특례 대출 총 정리
지난 시간에는 '신혼부부 주거비 부담' 정책에 대해 알아보았다. 자녀를 낳고, 양육하면서 다양한 경제적 어려움이 있지만 그중 가장 큰 부담을 가지고 있는 주택에 대한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
blog.priminglife.com